6 0 0 0 0 0 25일전 0

조동오위 연구

불교는 기원전 5-6세기 인도에서 발생해 약 500여 년 후 중국에 전래되었고, 6세기 초 보리달마에 의해 중국 선법의 기원이 마련되었다. 이후 선법은 조계혜능에 의해 중국적 토착화가 이루어지며 남종선이 발전하였다. 9세기 중반부터 10세기 중반까지 당말과 오대에 걸쳐 위앙종, 임제종, 조동종, 운문종, 법안종의 선종오가가 형성되었고, 이는 선의 번성기를 맞이하게 한다. 특히 조동종은 혜능에서 청원행사, 석두희천, 약산유엄, 동산양개, 조산본적, 운거도응으로 이어지는 법맥을 통해 발전하였고, 편정오위와 십팔반묘어 등 독자적인 교의로 특징지어진다. 편정오위는 정중편, 편중정, 정중래, 편중지, 겸중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송 시대 대양경현에 의해 십팔반묘어로 확장되었다. 조동종은 10세기 전후로 신라 말기와 ..
불교는 기원전 5-6세기 인도에서 발생해 약 500여 년 후 중국에 전래되었고, 6세기 초 보리달마에 의해 중국 선법의 기원이 마련되었다. 이후 선법은 조계혜능에 의해 중국적 토착화가 이루어지며 남종선이 발전하였다. 9세기 중반부터 10세기 중반까지 당말과 오대에 걸쳐 위앙종, 임제종, 조동종, 운문종, 법안종의 선종오가가 형성되었고, 이는 선의 번성기를 맞이하게 한다. 특히 조동종은 혜능에서 청원행사, 석두희천, 약산유엄, 동산양개, 조산본적, 운거도응으로 이어지는 법맥을 통해 발전하였고, 편정오위와 십팔반묘어 등 독자적인 교의로 특징지어진다. 편정오위는 정중편, 편중정, 정중래, 편중지, 겸중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송 시대 대양경현에 의해 십팔반묘어로 확장되었다. 조동종은 10세기 전후로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한국에 전래되어 고려와 조선 시대까지 이어졌고, 일본에도 12세기 말 전파되었다. 조동종의 선리로는 석두희천의 『참동계』, 동산양개의 『보경삼매』와 『오위현결』, 조산본적의 『삼종타』, 『오위군신지결』 등이 있으며, 송대 중기에는 묵조선 수행법으로 발전하였다. 조동종은 선사상, 수행법, 법맥 등에서 임제종과 함께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조동오위는 선수행의 원리와 실천적 측면 모두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임제종 또한 이를 수용하여 수행법으로 확장하였다. 본서는 『참동계』를 비롯해 조동오위의 사상과 구조, 그 전개 및 한국에서의 전승 양상을 고찰하고 있다. 1장에서는 중국 조동종의 형성과 법맥, 종풍을 중심으로 개요를 살펴보고, 2장에서는 『참동계』, 『보경삼매』, 『오위현결』을 통해 조동오위 사상의 기초를 고찰한다. 3장에서는 오위의 구조를 『주역』의 삼첩, 오변 원리와 연계해 설명하며, 4장에서는 한국에 전래된 조동종과 오위의 역사, 인물, 고려 시대 일연의 『중편조동오위』와 조선 후기 백파긍선의 『선문오종강요사기』를 통해 그 특징을 살핀다. 조동오위는 조동종에 국한되지 않고 선종 전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묵조선 수행의 이론과 실천 원리를 통해 그 의의가 크다.
김 호 귀
(kimhogui@hanmail.net)
동국대 선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 및 박사 졸업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HK교수
한문불전번역학과 교수

<저서 및 번역서>
묵조선 연구, 묵조선의 이론과 실제, 묵조선 입문, 묵조선, 선과 수행, 선문답의 세계,
선문답 강화, 금강경을 만나다, 금강경과해, 선의 어록, 선리 연구, 열반경종요, 조동선요,
화두와 좌선, 인물한국선종사, 게송으로 풀이한 금강경, 정토혹문, 통록촬요, 유마경의소,
육조대사법보단경, 육조대사법보단경요해, 선으로 읽는 금강경, 금강삼매경론, 금강삼매경주해,선과교의통로, 선수행의 길, 선과 선리, 금강경주해, 송대선종사연구, 금강경찬술, 선과귀감,
수선결사문, 금강선론, 달마어록, 한국 선리논쟁의 전개, 금강반야경소, 선문답 연의,
선과 선종, 금강경정해, 금강경여시해, 강좌한국선 기타 다수의 논문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