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정해>는 청대의 잉한거사(剩閒居士) 공기채(龔穊綵)가 1796년에 주해한 금강경 해설서로, 조선 후기에 감로사(甘露社)를 중심으로 유통되었다. 본서는 나집본 금강경의 32분과 체계를 따르면서도, 이를 50단락으로 재구성하여 각 단락에 용어 해설(註)과 강의(講)를 덧붙였다.
<금강경정해>는 조선 후기에 감로사 결사에 참여한 연방도인(蓮舫道人) 호정지(扈正智)가 교정하였으며, 그의 해석이 상당 부분 반영되었다. 특히 제10, 제18, 제31분에서는 ‘잉한왈(剩閒曰)’을 사용하여 공기채가 강조한 개념을 더욱 심화해 설명했다. 또한, 감로사에서는 1883년 보광거사 유운(葆光居士 劉雲)에 의해 본서를 재간행하였다.
책의 구성은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경문의 앞뒤 구절을 제시하되 중간은 생략한다. 둘째, ‘주(註)’에서 핵심 용어를 설명하고 관련 경문과의 관계를 논한다. 셋째, ‘강(講)’에서는 저자의 해석을 통해 경문의 흐름을 파악하도록 돕는다.
본서는 단순한 용어 해설을 넘어, 경문의 전후 맥락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이해를 돕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점에서 <금강경정해>는 단순한 주석서가 아니라, 공기채와 호정지의 사상이 반영된 중요한 불교 문헌으로 평가된다.
공기채
잉한거사(剩閒居士) 공기채(龔穊綵, 생몰년 미상)는 청나라 시기의 학자로, 불교와 유교 사상에 정통한 거사(居士, 재가불자)였다. 그는 『금강경』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이를 연구하여 **『금강경정해(金剛經正解)』**를 저술하였다.
김 호 귀
(kimhogui@hanmail.net)
동국대 선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 및 박사 졸업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HK교수
한문불전번역학과 교수
<저서 및 번역서>
묵조선 연구, 묵조선의 이론과 실제, 묵조선 입문, 묵조선, 선과 수행, 선문답의 세계,
선문답 강화, 금강경을 만나다, 금강경과해, 선의 어록, 선리 연구, 열반경종요, 조동선요,
화두와 좌선, 인물한국선종사, 게송으로 풀이한 금강경, 정토혹문, 통록촬요, 유마경의소,
육조대사법보단경, 육조대사법보단경요해, 선으로 읽는 금강경, 금강삼매경론, 금강삼매경주해,선과교의통로, 선수행의 길, 선과 선리, 금강경주해, 송대선종사연구, 금강경찬술, 선과귀감,
수선결사문, 금강선론, 달마어록, 한국 선리논쟁의 전개, 금강반야경소, 선문답 연의,
선과 선종, 금강경정해, 금강경여시해, 강좌한국선 기타 다수의 논문
표지그림 : 도산 황규철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