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확인
U
회원관리
로그인
가입
찾기
회원아이디
패스워드
로그인유지
회원아이디
이름
이메일
휴대폰번호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회원이용약관 및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동의 합니다
회원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보기
본인 이름 입력
회원가입시 이메일 입력
g
선과 선종
목차
유페이퍼
|
김호귀
|
2025-03-31
화면확대
0.6 배율
1.0 배율
1.5 배율
2.0 배율
2.5 배율
3.0 배율
0
읽음
0
0
0
1 / 61 목차보기
로그인
회원가입
g
gsbus2003 페이퍼
목차
<인도편>1. 선법의 원류
2. 붓다의 선정수행
3. 사선과 팔정
4. 구차제정
5. 소승불교의 선정
6. 대승불교의 선정
<중국편> 1. 선법의 중국 전래
2. 보리달마
3. 보리달마 선법의 전승
4. 초기선종의 전법상승
5. 우두법융
6. 대만홍인
7. 동산법문의 전개
8. 북종선의 출현
9. 북종선의 특징
10. 남종선의 출현
11. 남악회양
12. 청원행사
13. 하택신회
14. 영가현각
15. 남양혜충
16. 선종오가의 출현
17. 송대의 선종
18. 원 · 명 · 청대의 선종
<한국편> 1. 선법의 전래
2. 구산선문
3. 고려시대의 선법
4. 보조지눌의 선사상
5. 천책과 <선문보장록>
6. 일연과 <중편조동오위>
7. 고려 후기의 선법
8. 조선 전기시대의 선법
9. 조선 중기시대의 선법
10. 조선 후기의 선리 논쟁
제2장 선어록과 그 성격 1. 어록의 출현과 찬술경전 1) 어록의 정의
2) 어록의 출현
3) 찬술경전의 쇠퇴
2. 중국과 일본의 선어록 1) 선어록의 분류
2) 중국의 선어록
3) 일본의 선어록
3. 한국 선어록의 간행과 전개 1) 선의 전래와 정착
2) 고려의 선어록
3) 조선의 승려문집
4. 선어록의 역할과 기능 1) 선어록의 유통
2) 선어록의 역할
3) 한국불교와 선어록
4) 선과 불립문자
제3장 묵조선과 간화선의 수행 1. 선과 수행
2. 묵조선과 좌선
3. 묵조선의 수행 1) 좌선의 수행[只管打坐]
2) 깨침의 자각[本證自覺]
3) 깨침의 현성[現成公案]
4) 평등의 좌선[非思量]
5) 깨침의 생활[身心脫落]
5. 간화선과 화두 1) 대혜종고와 간화선
2) 화두의 속성
6. 간화선의 수행 1) 화두의 기능
2) 화두참구의 요소
3) 화두참구의 방식
저작권 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