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확인
U
회원관리
로그인
가입
찾기
회원아이디
패스워드
로그인유지
회원아이디
이름
이메일
휴대폰번호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회원이용약관 및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동의 합니다
회원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보기
본인 이름 입력
회원가입시 이메일 입력
g
금강삼매경의 선사상연구
<목 차>
유페이퍼
|
김호귀
|
2025-03-26
화면확대
0.6 배율
1.0 배율
1.5 배율
2.0 배율
2.5 배율
3.0 배율
3
읽음
0
0
0
1 / 39 목차보기
로그인
회원가입
g
gsbus2003 페이퍼
<목 차>
머리말
Ⅰ. 선사상의 형성과 전개 1. 붓다의 선정
2. 초기불교의 선정
3. 아비달마불교의 선정
4. 대승불교의 선정
5. 중국선과 심법의 전수
Ⅱ. 무언과 침묵의 선론 1. 도입
2. 「서품」의 성격과 선론
3. 무언과 침묵의 선론
4. 맺음
Ⅲ. 무상·무생·무위의 선론 1. 도입
2. 무분별의 수행과 십이지연기의 무상(無相)
3. 무집착의 수행과 여래장의 무생(無生)
4. 분별·집착의 초월과 육바라밀의 무위(無爲)
5. 맺음
Ⅳ. 무생법인의 구조와 무생선의 실천 1. 도입
2. 무생법인과 무공용
3. 무생법과 무생행의 구조
4. 무생선과 무생반야의 실천방식
5. 맺음
Ⅴ. 본각과 본리의 수증관 1. 도입 2. 선경으로서 <금강삼매경>
3. 본각‧리행과 본래성불의 접점
4. 「본각리품」 수증의 구조
5. 맺음
Ⅵ. 오정심관과 달마의 사행 1. 도입
2. 방편으로서의 오정심관
3. 깨달음의 현성으로서 사행
4. 맺음
Ⅶ. 선수행과 <금강삼매경> 1. 선법의 한국 전래
2. <금강삼매경론>과 선법
3. <금강삼매경론>의 선수행론
4. 반야바라밀의 실천
5. 맺음
Ⅷ. 선경으로서 <금강삼매경> 1. 담연원징
2. <금강삼매경주해>
3. 선경으로서 위상
<참고문헌>
저작권 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