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5

말없이 전하는 말(선문답2)

김호귀 | 유페이퍼 | 5,000원 구매
0 0 4 31 0 0 2025-04-24
하루 한 개의 선문답, 마음을 깨우는 지혜의 시간 이 책은 하루 한개씩 선문답을 읽으며 깊이 있는 사유와 깨달음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선문답은 스승과 제자의 문답 속에서 언어를 초월한 진리를 전하는 선불교의 가르침입니다. 때로는 알쏭달쏭하고, 때로는 신비로운 이 짧은 문답 속에는 우리 삶을 비추는 깊은 통찰이 담겨 있습니다. 하루 한 번, 짧지만 강렬한 깨달음의 순간을 마주하며 내면을 돌아보세요. 이 책이 당신의 일상에 작은 쉼표가 되고, 새로운 시각을 열어줄 수 있기를 바랍니다.

금강경정해

공기채, 김호귀 역 | 유페이퍼 | 10,000원 구매
0 0 8 36 0 1 2025-04-11
<금강경정해>는 청대의 잉한거사(剩閒居士) 공기채(龔穊綵)가 1796년에 주해한 금강경 해설서로, 조선 후기에 감로사(甘露社)를 중심으로 유통되었다. 본서는 나집본 금강경의 32분과 체계를 따르면서도, 이를 50단락으로 재구성하여 각 단락에 용어 해설(註)과 강의(講)를 덧붙였다. <금강경정해>는 조선 후기에 감로사 결사에 참여한 연방도인(蓮舫道人) 호정지(扈正智)가 교정하였으며, 그의 해석이 상당 부분 반영되었다. 특히 제10, 제18, 제31분에서는 ‘잉한왈(剩閒曰)’을 사용하여 공기채가 강조한 개념을 더욱 심화해 설명했다. 또한, 감로사에서는 1883년 보광거사 유운(葆光居士 劉雲)에 의해 본서를 재간행하였다. 책의 구성은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경문의 ..

달마어록

김호귀 역 | 유페이퍼 | 10,000원 구매
0 0 8 75 0 0 2025-04-09
보리달마는 5~6세기 실존 인물로, 인도 혹은 페르시아 출신이다. 보리달마의 대표적인 제자인 도육과 혜가는 그를 스승으로 모시고 지극한 정성으로 수행했다. 오랜 정진 끝에 그들은 달마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네 가지 여시(四如是)’를 정리했다. 이는 여법하게 마음을 안정시키는 것(如是安心), 여법하게 수행을 실천하는 것(如是發行), 여법하게 중생을 대하는 것(如是順物), 여법하게 수행을 이어가는 것(如是方便)으로 구성된다. 이는 대승불교의 핵심인 ‘대승안심(大乘安心)’의 가르침으로, 사람들을 올바르게 인도하는 지침이 되었다. 보리달마는 중국 선종의 초조(初祖)로 추앙받으며, 그의 가르침은 조사선(祖師禪)으로 정립되었다. 조사선은 모든 사람이 본래 붓다와 동일한 성품을 ..

금강삼매경의 선사상연구

김호귀 | 유페이퍼 | 10,000원 구매
0 0 8 39 0 2 2025-04-09
<금강삼매경>은 진경인지 의위경인지 논란이 있었으나, 동아시아 불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원효가 주석서를 남겼고, 명·청대에도 선종과 천태종의 관점에서 연구되었다. 본서는 <금강삼매경>에 담긴 선사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특히 원징의 <금강삼매경주해>를 통해 경전과 선리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적진은 <금강삼매경통종기>에서 경전의 각 품이 수행 단계에 대응한다고 설명하며, 선수행의 발전 과정을 제시하였다. 원징은 <금강삼매경주해>에서 무언과 침묵, 연기법 관찰, 여래장 이해, 육바라밀 수행 등을 강조하며 선사상을 분석하였다. 금강삼매는 다양한 존재에게 적합한 공덕을 지니며, 번뇌를 벗어나도록 돕는 수행법으로 평가된다. 본서는 <금강삼매경> 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

조동오위 연구

김호귀 | 유페이퍼 | 10,000원 구매 | 1,000원 7일대여
0 0 7 19 0 0 2025-04-08
불교는 기원전 5-6세기 인도에서 발생해 약 500여 년 후 중국에 전래되었고, 6세기 초 보리달마에 의해 중국 선법의 기원이 마련되었다. 이후 선법은 조계혜능에 의해 중국적 토착화가 이루어지며 남종선이 발전하였다. 9세기 중반부터 10세기 중반까지 당말과 오대에 걸쳐 위앙종, 임제종, 조동종, 운문종, 법안종의 선종오가가 형성되었고, 이는 선의 번성기를 맞이하게 한다. 특히 조동종은 혜능에서 청원행사, 석두희천, 약산유엄, 동산양개, 조산본적, 운거도응으로 이어지는 법맥을 통해 발전하였고, 편정오위와 십팔반묘어 등 독자적인 교의로 특징지어진다. 편정오위는 정중편, 편중정, 정중래, 편중지, 겸중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송 시대 대양경현에 의해 십팔반묘어로 확장되었다. 조..

Many Cargoes

W.W. Jacobs | 유페이퍼 | 2,000원 구매
0 0 17 22 0 0 2025-03-27
Many Cargoes British author W.W. Jacobs' collection of short stories, "Many Cargoes," was published in 1896, and contains humorous and lively stories set in the sea. Jacobs was a huge hit with readers due to his unique witty style and humor while depicting the lives of sailors and dockworkers realistically. This book features a variety of ships and unusual events on them, a..

The Wind in the Willows

Kenneth Grahame | 유페이퍼 | 2,000원 구매
0 0 25 14 0 0 2025-03-25
In a quiet riverside, the innocent mole Mole leaves his home with a desire to explore the world and meets the kind water rat Ratty, who teaches him the ways of life on the river. However, the boastful and troublesome toad Mr. Toad becomes obsessed with automobiles and starts causing trouble. The wise badger Badger and his friends try to set him straight. Through various challen..

한국 선리논쟁의 연구

김호귀 | 유페이퍼 | 15,000원 구매 | 1,000원 7일대여
0 0 12 18 0 0 2025-03-25
송대 선종에서는 깨침의 본질과 수행 방법을 강조하는 여러 개념이 정착되었다. 대표적으로 단전심인, 불립문자, 직지인심, 견성성불 등의 개념은 선종의 핵심 종지를 대변할 뿐만 아니라 깨침의 정의를 명확히 내리기 어렵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선종에서는 시대와 종파, 수행자에 따라 선수행의 방법이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깨침과 더불어 이를 설명하는 선리가 형성되었다. 선리는 수행자들이 깨달음을 표현하는 방식이자 수행의 원리를 담고 있는 이론으로, 선종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러한 선리는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 선종에도 영향을 주었다. 한국의 선리 연구는 나말여초에 선법이 유입되면서 시작되었으며, 고려 시대 구산선문이 출현하면서 선교 차별을 주장..

선과 선종

김호귀 | 유페이퍼 | 10,000원 구매 | 1,000원 7일대여
0 0 12 61 0 0 2025-03-24
인류의 역사에서 깨달음을 향한 여정은 수많은 길로 나뉘어 왔습니다. 그중에서도 '선(禪)'은 말과 개념을 초월하여 직접적인 체험과 직관을 중시하는 수행법으로, 불교의 중요한 흐름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책은 선(禪)의 본질과 그것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온 선종(禪宗)의 역사, 사상, 그리고 수행법에 대해 깊이 탐구하고자 합니다. 선은 붓다의 가르침에서 비롯되었지만, 인도에서 중국으로 전해지면서 독자적인 색채를 띠게 되었고, 이후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 각지로 퍼져 나갔습니다. 특히 중국에서 달마대사에 의해 선종이 형성된 이후, '이심전심(以心傳心)'과 '불립문자(不立文字)'라는 개념이 강조되면서 기존의 경전 중심 불교와는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이러..

역주유마힐소설경

구마라집, 김호귀 역주 | 유페이퍼 | 15,000원 구매 | 1,000원 7일대여
0 0 15 17 0 0 2025-03-24
**유마힐소설경(維摩詰所說經, Vimalakīrti Nirdeśa Sūtra)**은 대승불교 경전 중 하나로, 특히 지혜와 방편(方便), 불이(不二)의 사상을 강조하는 중요한 경전이다. 유마힐(維摩詰, Vimalakīrti)은 재가 보살로 등장하며, 문수보살과의 대화를 통해 불법(佛法)의 깊은 의미를 설파한다. 이 경전은 중국 불교와 일본 불교에서 널리 읽혔으며, 선종(禪宗)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유마힐소설경》은 붓다 당시의 비구(比丘)나 출가 수행자뿐만 아니라 재가 신자도 깨달음에 이를 수 있음을 강조하는 대승불교 경전이다. 유마힐은 뛰어난 지혜와 신통력을 갖춘 재가 보살로서, 문병 온 부처님의 제자들에게 대승의 깊은 가르침을 설한다. 경전은 크게 다음과 같은 ..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