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5

금강경여시해

장탄, 김호귀번역 | 유페이퍼 | 10,000원 구매 | 1,000원 7일대여
0 0 23 50 0 1 2025-03-16
『금강경여시해』는 청대에 출현한 『금강경』에 대한 주석서이다. 여기에는 몇 가지 특징이 보인다. 구성에서 경문의 개념을 무념(無念)과 무주(無住)와 무심(無心)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곧 염(念)과 주(住)와 심(心)을 통하여 그것을 초월한 개념으로 무념과 무주와 무심으로 대치시켰다. 또 기존의 삼무(三無)를 논하는 가운데 무상(無相)을 무심(無心)으로 대치하여 각각 무념과 무주와 무심을 정념(正念)과 묘주(妙住)와 진심(眞心)으로 간주하였다. ‘여시’의 개념에 대해서는 첫째는 심성의 근원으로 성체(性體)이고, 둘째는 심성의 편재로서 심량(心量)이며, 셋째는 심성의 작용으로서 성구(性具)로 파악하였다. 경문에 대한 이해의 방식에서는 네 가지 특징을 보여주었다. 하나, ..

반야심경주해

무구자, 김호귀 번역 | 유페이퍼 | 10,000원 구매 | 1,000원 7일대여
0 0 20 69 0 0 2025-03-16
『반야심경주해』는 명대의 송계도인(松溪道人) 혹은 무구자(無垢子)라고 불린 하도전(何道全)이 주석한 것이다. 『반야심경주해』는 『반야심경』의 문구마다 그 의미와 내용을 설명하고, 불교를 비롯한 유교와 도교 기타에서 동일한 의미로 활용되고 있는 내용을 인용하여 부연설명을 했다. 『반야심경주해』가 지니고 있는 가치는 불교를 불교의 테두리 안에 가두지 않고 불교, 유교, 도교에 드러내놓고 해석함으로써 불교가 지니고 있는 교리의 우월성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찾아볼 수가 있다. 하도전이 『반야심경주해』를 해석한 의도가 바로 이런 것이 아니었을까. 『반야심경』의 이해를 통해서 먼저 자신을 자각하고, 자성을 믿으며, 이타의 마음을 일으키고, 그 성취를 위해 정진할 ..

육조법보단경(몽산덕이본)

조계혜능. 김호귀 역 | 유페이퍼 | 15,000원 구매 | 1,000원 7일대여
0 0 20 17 0 0 2025-03-15
『육조단경』은 중국 선종(禪宗)의 여섯 번째 조사인 조계혜능(慧能, 638~713)의 설법을 기록한 경전으로, 선종에서 경(經)이라는 명칭이 붙은 중요한 어록입니다. 혜능은 오조 홍인(弘忍)으로부터 법을 전수받은 후, 남종선(南宗禪)의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이 어록의 핵심 사상은 정혜일체(定慧一體), 자성법문(自性法門), 본래성불(本來成佛), 돈오(頓悟), 무집착(無執着), 교화방법(敎化方法) 등입니다. 혜능은 일체의 증생이 본래 부처라는 사상과 더불어 그것을 일상에서 타인에게 실천할 것을 중요시했습니다. 혜능은 모든 사람이 자기의 청정한 마음을 자각함으로써 부처로 살아가야 할 것을 강조하였고, 깨달음과 수행도 출가와 재가에게 차이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같은 까..

강좌 한국선

김호귀 | 유페이퍼 | 10,000원 구매 | 1,000원 7일대여
0 0 24 30 0 1 2025-03-11
한국선이라면 한국이라는 지역에서 그리고 한국의 역사에서 전개되고 전승된 일반의 선을 중심으로 하고, 기타 한국선이 형성되기 이전에 수용된 선법과 한국인에 의해 한국을 떠나 이국에서 전개된 선법까지 두루 포함된 경우를 아우른 개념이다. 이러한 한국선을 이야기할 때는 특정한 시대와 지역과 주제와 인물과 종파와 사상과 문화 등을 별도로 설정하여 살펴보는 것도 편리한 방법이다. 본서에서는 주제를 자유롭게 설정하고, 그 제한된 주제를 둘러싼 배경과 사상과 인물 등에 대하여 다양한 방면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들 다양한 주제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넓게는 한국선의 전체적인 경향과 그 정체성을 도출해볼 수가 있을 것이고, 좁게는 특정의 분야에 대하여 심화시켜 그 내용에 접근할 수..

선가귀감

청허휴정.김호귀 역 | 유페이퍼 | 10,000원 구매 | 1,000원 7일대여
0 0 62 18 0 0 2025-03-10
청허휴정의 <선가귀감>은 주로 출가한 납자가 지녀야 하는 본분과 수행에 어떻게 임해야 하는가를 말한 지침서이고 강요서이며 개론서이다. 때문에 그 형태는 각종 경론과 어록에서 특별히 마음에 새기고 힘써야 할 내용을 발췌하여 엮은 것이다. 그리고 그에 대하여 청허휴정이 개인적인 해설과 게송의 형태를 빌려 평석을 가한 것이다. 본문에서는 자상한 타이름과 투철한 각오를 지닐 것도 함께 부탁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은 당시에 불교가 처한 정치적인 배불의 역사와 아울러 아이러니컬하게도 민중에게는 신앙적으로 크게 고양된 불교신앙에 대한 조선중기의 상황을 반영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선가귀감은 특별히 참구에 힘쓰는 납자들은 물론이고 불교에 관심을 두고 있는 일반 독자들에게도 ..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